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유용한 정보

7월 18일 탄생화 채송화, 이끼장미

by 프로궁금러 2022. 7. 18.
반응형

7월 18일 탄생화 채송화, 이끼장미

 


 ​1. 7월 18일 탄생화 백장미에 대해

 

채송화 꽃말 : 가련함
힉명 : Portulaca Grandiflora Hook.
영명 : Moss-rose, Ross Moss, Moss-rose Purslane

7월 18일 탄생화인 채송화, 이끼장미의 꽃말은 가련함이에요. 이 꽃말의 뜻과 성격은

"흐트러진 마음으로 고뇌의 밤을 거듭하는 당신. 그럼 모습은 당신에게 어울리지 않습니다."

(출처 : 나무사랑원예)

 

예요.

 

 

이끼장미의 원산지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부, 우루과이예요.

채송화는 전 세계적으로 40여종이 분포되어 있어요. 우리나라에는 한 종류가 있죠. 18세기 전후 국내에 보급된 걸로 기록되어 있어요.

채송화 혹은 이끼장미는 우리말로 따꽃이라고 불려요. 하지만 일본에서 유래한 채송화(菜松花)라는 꽃명이 여전히 계속 사용되고 있어요.

이끼장미는 꽃이 피는 시간이 지역에 따라 달라요. 예를 들어서 파키스탄에서는 오후에 피어요. 그 시간 때문에 '오후 꽃(Gul Dopheri)'이라고 불려요. 인도에서는 오전 9시에 피기 때문에 '9시 꽃(nau bajiya)이라고 불리죠.

채송화는 전초를 반지련(半支蓮)이라고 부르고요. 약으로 사용해요. 성분은 폴투랄 등이 알려져 있고요. 효능은 인후염,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2. 채송화에 얽힌 이야기

채송화에 얽힌 전설이 있다. 옛날 페르시아에 사치가 심한 어떤 여왕이 살았다. 여왕은 보석을 좋아해 세금도 보석으로 내라고 해서, 신하들과 백성들은 등골이 휠 지경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어떤 노인이 수많은 보석이 담긴 상자를 가지고 와서 여왕께 바친 다음 한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보석 하나당 페르시아 백성 한 명으로 값을 치르란 것이었다.

그러자 눈이 돌아간 여왕은 노인의 말을 대충 흘려넘기곤 조건을 승낙했다. 그러자 노인이 보석 하나를 건네줄 때마다 백성이 한 명씩 사라졌다. 그렇게 모든 보석을 건네받은 뒤 마지막 보석만이 남았다. 이미 나라에는 백성이 없었는데도 여왕이 망설임 없이 마지막 보석을 가지려고 상자를 집어드는 순간, 보석과 상자가 모두 터지면서 여왕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 그리고 터진 보석의 파편들은 채송화로 바뀌었다.

 

 


3. 7월 18일 세계 주요 사건 및 7월 18일이 탄생일인 주요 인물 


< 7월 18일 세계 주요 사건 >


64년 - 로마 대화재.
660년 - 백제가 신라와 당나라 연합공격으로 멸망.
1323년 - 토마스 아퀴나스 시성식 : 토마스 아퀴나스가 로마 가톨릭교회 성인으로 시성.
1861년 - 미국 남북 전쟁 발발.
1870년 - 바티칸 공회, '교황불가오류' 교리 선언.
1885년 - 영국-청나라 아편협정 체결.
1904년 - 대한매일신보 창간.
1936년 - 에스파냐 내전 일어.
1952년 - 중석불사건(重石弗事件)이 국회에 비화되어 조사위원회 구성.
1963년 - 민주당 창당(총재 박순천).
1972년 - 한국 기드온 선교회 창립.
1977년 - 베트남, 유엔가입.
1986년 - 침몰한 타이타닉 호 수중촬영 성공.
1990년 - 대한민국 4대 대통령과 2대 서울특별시장 지낸 윤보선 병으로 사망.
1995년 - 서울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로 사망 418명, 실종 246명, 부상 408명.
1996년 -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제105차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신임 IOC위원으로 임명.
2002년 - 5천 억 원 규모 삼성 이건희 장학재단 설립 발표.
2004년 - 연쇄살인 사건 일으켰던 유영철 검거.
- 서울신문 창간 100주년.
2012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실질적인 최고 지도자인 김정은에게 대장에서 원수 칭호 수여.
2013년 - 국방부 연예병사 제도 16년 만에 폐지.
- LG유플러스 세계최초로 LTE-A 출시.

 


​< 7월 18일에 태어난 인물 >

 

155년 - 위(魏) 무제(武帝) 조조 맹덕
1357년 - 고려 말기 문신이자 조선 제2대 임금. 조선 정종 
1534년 -  독일 개혁주 신학자, 종교 개혁가.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1552년 - 신성로마제국 황제 루돌프 2세
1635년 - 영국 자연 철학자 로버트 훅
1887년 - 노르웨이 정치가 비드쿤 크비슬링
1892년 - 브라질 전 축구 선수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1905년 - 대한민국 법조인 박이순.
1909년 - 구 소련 외교관 안드레이 그로미코
1909년 - 아프가니스탄 정치인 무함마드 다우드
1916년 - 대한민국 군인 김창룡
1918년 -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자 흑인 해방 운동 지도자 넬슨 만델라.
1922년 - 미국 과학사학자, 과학철학자. 《과학 혁명의 구조》로 유명한 토머스 새뮤얼 쿤
1950년 - 영국 기업가, 버진그룹 회장 리처드 브랜슨.
- 캐나다 정치인 잭 레이턴.
1960년 - 대한민국 아나운서 김태욱
1963년 - 대한민국 아나운서 김정일
1965년 - 대한민국 미스코리아 겸 탤런트 황성임
1966년 - 대한민국 정치인 강성종
1974년 - 대한민국 배우, 모델 이선진
1978년 - 대한민국 배우 주상욱
1980년 - 일본 영화 배우 히로스에 료코
1986년 - 대한민국 아나운서 최희
1990년 - 대한민국 가수 김지숙
1993년 - 대한민국 가수 태민(SHINe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