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유용한 정보

10월 15일 탄생화 바질

by 프로궁금러 2022. 10. 17.
반응형

10월 15일 탄생화 바질

 


1. 10월 15일 탄생화 바질에 대해

 

바질 꽃말 : 증오
학명 : Ocimum basilicum L.
영명 : Basil, Sweet Basil, Saint Joseph's Wort

바질의 꽃말은 증오예요. 이 꽃말의 뜻과 성격은

"누구나 훌륭한 희망을 잦고자 합니다. 많은 사람들의 소망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당신에게 요구됩니다. 널리 알려지는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사람. 사랑하는 사람도 그런 당신을 반드시 존경하게 될 것입니다."

(출처 : 나무사랑원예)

예요.

 

 

 

 


바질은 일년초예요.

바질은 피자, 스파게티 등 요리에서 빠지지 않는 향신채소예요. "king of herbs"라고도 불려요. 바질은 어린 잎이나 꽃을 꺾어서 이용해요. 건조시키면 향이 날아가기 때문에 잎의 양쪽에 올리브유를 발라서 냉동시켜야 돼요. 기름이나 식초로 절여 놓으면 오래 보존할 수 있어요.

 

바질은 잎을 뜯기만 해도 주변에 향이 퍼질 정도로 달콤하고 강한 향을 가지고 있는 허브예요.

 

 

 

 

 




2. 10월 15일 세계 주요 사건 및 10월 15일이 탄생일인 주요 인물

 

 


​< 10월 15일 세계 주요 사건 >

 

533년 - 비잔티움 제국의 벨리사리우스 장군이 반달족의 수도 카르타고로 진격하기 시작
1552년 - 카잔 한국이 이반 그로즈니의 군대를 패배시킴
1582년 -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을 대신하여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기 시작. 이탈리아,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에서 10월 4일이 10월 15일로 바뀜
1764년 - 영국 역사가 에드워드 기본이 로마의 유피테르 신전 폐허에서 노래하는 탁발수도승들을 보고 《로마 제국 쇠망사》의 영감을 얻음
1815년 -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가 세인트 헬레나 섬에서 수감 생활을 시작
1863년 - 미국 남북전쟁: 최초의 잠수함 CSS 헌리가 시험 도중 침몰했고, 이 사건으로 개발자인 호레이스 H. 헌리가 죽음
1878년 - 미국 에디슨 전기 회사(현재의 제네럴 일렉트릭)가 영업을 시작
1880년 - 멕시코 군인들이 위대한 아파치 족 군사 전략가 빅토리오를 죽임
1894년 - 프랑스 육군 장교 알프레드 드레퓌스가 스파이 혐의로 체포됨. 드레퓌스 사건의 시작
1904년 - 러일전쟁: 러시아 제국 해군의 발틱 함대가 러일전쟁 참전을 위해 에스토니아 탈린을 떠나 중국의 뤼순으로 출항
1905년 - 친일단체 일진회, 한일보호조약 촉구 성명
1907년 - 대한국민체육회 설립
1909년 - 최초의 지방지 경남일보 창간
1910년 - 인천에 상수도 개설
1917년 - 제1차 세계 대전: 네덜란드 출신 무용수로 독일 간첩 혐의를 받은 마타하리가 파리에서 처형당함
1925년 - 서울역사가 준공되고, 운수영업 개시
1928년 - 독일 비행선 그라프 쩨펠린이 최초로 대서양 횡단 비행을 마치고 미국 뉴저지 주 레이크허스트에 착륙
1934년 -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이 장개석의 국민혁명군에 포위당해 붕괴되고, 공산주의자들이 장정을 시작
1940년 - 인도 민족지도자 마하트마 간디, 반영 불복종 운동 개시
1946년 - 나치 공군 총사령관 헤르만 괴링,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전범으로 사형선고를 받고 수감중에 자살
1949년 - 대한민국과 일본, 한일통상협정 조인
1952년 - 백마고지 전투가 끝남
1953년 - 영국 핵실험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에뮤 필드에서 실시
1963년 - 대한민국, 제 5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가 윤보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
1966년 - 미국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미국 운수성 설립을 승인
1969년 - 베트남 전쟁: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미국에서 반전 시위를 벌임
1970년 - 안와르 사다트가 이집트의 대통령으로 취임하다.
1971년 - 유신체제: 서울특별시에 위수령이 발동되고, 10개 대학에 무장군인이 진주함
1973년 - 소양강댐이 준공
1980년 - 경주시 ~ 포항시를 연결하는 국도의 4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
1987년 - 1987년 대폭풍이 프랑스와 영국을 덥침
1988년 - ‘88 서울 장애인 올림픽, 65개국 4천361명 참가한 가운데 개막
- 서울 북가좌동에서 인질극을 벌이던 지강헌 일당 검거
1990년 -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냉전 종식을 위해 노력한 점이 인정되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결정
1991년 - 우주상에서 관측된 입자중 가장 빠른 입자인 오마이갓 입자가 관측
1992년 - 러시아에서 안드레이 치카틸로의 연쇄 살인 52건에 대해 유죄가 확정
1993년 - 대한민국 청와대, 일제때의 일본 총독부 관저였던 청와대의 구 본관 철거 시작
1997년 - 쌍방울 그룹 화의 신청
 -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토성을 향해 발사
2001년 -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과 일본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열림
- 성남시 서울비행장에서 서울 에어쇼 2001 개막
- 미국항공우주국의 갈릴레오 우주선이 목성 위성인 이오와 180km 지점을 통과
2003년 -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첫 유인 우주선인 선저우 5호를 발사

 

 

 

 

 

 

 

 


< 10월 15일에 태어난 주요 인물 >

기원전 70년 - 고대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
1608년 - 이탈리아 물리학자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1818년 - 미국 군인 어빈 맥도웰
1829년 - 미국 천문학자 아사프 홀
1831년 - 영국 여행가, 지리학자 이사벨라 버드
1844년 -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1865년 - 조선 왕족 이해창
1869년 - 스페인 정치인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
1872년 - 오스트리아 대통령 빌헬름 미클라스
1878년 - 프랑스 정치인 폴 레노
1881년 - 영국 성공회 주교 윌리엄 템플
1893년 - 루마니아 군주 루마니아의 카롤 2세
1908년 - 미국과 캐나다의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1910년 - 미국 역사가 에드윈 라이샤워
1914년 - 아프가니스탄 군주 무함마드 자히르 샤
1915년 - 이스라엘 정치인 이츠하크 샤미르
1916년 - 지부티 정치인 하산 굴레드 압티돈
1920년 - 미국 작가 마리오 푸조
1926년 -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1928년 - 대한민국 군인 김종묵
1933년 - 대한민국 물리학자 김호길
1934년 - 대한민국 정치인 한영수
- 프랑스 정치인 레몽 푸앵카레
1937년 - 대한민국 군인 허화평
1940년 - 대한민국 방송인, 정치인 변웅전
1944년 - 알바니아 정치인 살리 베리샤
- 영국 정치인 데이비드 트림블
1947년 - 대한민국 법조인, 정치인 김학원
1949년 - 대한민국 공무원 권태신
1950년 - 대한민국 성우, 배우 김도현
1953년 - 미국 가수 티토 잭슨
1954년 - 대한민국 기업인 김신배
1955년 - 대한민국 전 경찰관 이성규
1956년 - 대한민국 전 야구 선수 송재박
1957년 - 대한민국 전 야구 선수 장태수
- 대한민국 전 야구 선수 우경하
1958년 - 대한민국 배우 조형기
1959년 - 영국 요크 공작 부인 사라
1962년 - 대한민국 배우 최명길
1966년 - 멕시코 전 축구 선수 호르헤 캄포스
1968년 - 미국 배우 바네사 마실
- 프랑스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디디에 데샹
1969년 - 대한민국 가수, 작곡가 윤종신
- 대한민국 배우 박은영
- 포르투갈 전 축구 선수 비토르 바이아
1971년 - 크로아티아 전 축구 선수, 니코 코바치
- 슬로베니아 전 축구 선수 즐라트코 자호비치
1973년 - 멕시코 야구 선수 다비드 코르테스.
1975년 - 일본의 만화가 히가시무라 아키코
1977년 - 프랑스 축구 선수 다비드 트레제게
1978년 - 대한민국 축구 선수 유경렬
1979년 - 라트비아 축구 선수 마리스 베르파콥스키스
1980년 -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트 선수 이규현
- 대한민국 가수 문성훈
1981년 - 러시아의 전 테니스 선수 엘레나 데멘티에바
- 미국 가수, 작곡가 키샤 콜
1982년 - 대한민국 수영 선수 성민
- 대한민국 가수 태인
1986년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동해
1988년 - 독일 축구 선수 메수트 외질
- 브라질 축구 선수 펠리페 마티오니
1990년 - 대한민국 그룹 포미닛의 멤버 전지윤
1991년 -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손수민
- 대한민국 야구 선수 장국헌

반응형